2025-08-10
지난주 초반, 시장의 예상을 크게 하회하는 미국 고용지표가 발표되면서 환율은 1,379.60원까지 급락하며 출발했어요. 고용시장이 둔화되고 있다는 모습이 보이자 연준의 9월 금리 인하 기대감이 최고조에 달하며 달러가 전 세계적으로 약세를 보였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주 후반으로 갈수록 국내 수급 요인이 부각되며 환율은 다시 1,390원 부근까지 꾸준히 반등했고, 결국 한 주간 11.80원 하락한 1,389.60원에 마감했습니다.
전 세계적인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 인덱스(DXY) 역시 100선 가까이 올랐다가 고용 쇼크 이후 98선 초반까지 급락하며, 달러가 한 주 내내 힘을 쓰지 못하는 모습을 명확히 보여주었어요.
지난주 환율 변동의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이벤트들이 있었어요.
미국 7월 고용지표 쇼크
'비둘기'로 변신한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 확산)
국내 수급 요인의 '역습' (환율 하락을 막은 방어막)
글로벌 달러 약세는 다른 주요 통화에도 영향을 미쳤어요.
이번 주 달러/원 환율은 '미국 물가 지표(CPI)' 발표와 '국내의 팽팽한 수급 힘겨루기'라는 안갯속을 동시에 헤쳐나가야 하는 복잡한 한 주가 될 전망이에요. 지난주 고용 쇼크로 열렸던 환율 하락의 문이 다시 좁아지면서, 변수 하나하나의 영향력을 세심하게 따져봐야 하는 시점입니다.
이번 주 환율의 방향을 결정할 가장 중요한 변수는 단연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입니다. 단순히 숫자 자체보다 그 내용이 훨씬 중요해요
주목해야할 포인트: 관세 영향과 서비스 물가
시나리오별 환율 영향 분석
글로벌 달러의 움직임과 별개로, 국내 시장의 수급 구도는 환율의 특정 레벨을 단단히 지지하거나 막아서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매수 우위'의 단단한 배경: 국민연금의 달러 수요
'상승 제한'의 배경: 외환 당국의 경계감
이번 주에는 시장의 투자 심리를 한순간에 바꿀 수 있는 정치·무역 이벤트도 예정되어 있어요.
미-러 정상회담 (8/15): 우크라이나 종전이라는 '메가톤급' 변수
미-중 관세 협상 (8/12 시한): 불확실성의 그림자
이번 주 달러/원 환율은 미국 CPI 발표를 기점으로 방향성 탐색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벌적으로 보면 과거에 달러 가치를 안정시켰던 세 가지 요인이 이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분석이에요.
이처럼 달러를 지지하던 버팀목들이 약해졌기 때문에, 달러는 회복보다는 추가적인 하락 단계에 접어들 가능성이 더 커 보입니다.
다만, 달러가 글로벌적으로 약세를 보이더라도 강력한 국내 수급 요인들이 그 움직임의 폭을 제한하며 결국 박스권 내에서 등락을 거듭할 가능성이 있습니다.